본문 바로가기

공부내용 정리/스프링

[SpringBoot] Log 남길 때 혼나지 않기

 

강의를 보다가 중요한 부분이 있어서 남겨봄.

님들도 log 를 작성할 때 혼나지 않는 개발자가 될 수 있음.

 

로그를 남길 때 보통 아래처럼 하는데

log가 남을 때 name 파라미터만 {} 로 넘김.

log.trace(" trace log= {}", name);
package hello.springmvc.basic;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lf4j.Logger;
import org.slf4j.Logg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Log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LogTestController.class);

    @RequestMapping("/log-test")
    public String logTest() {
        String name = "Spring";

        log.trace(" trace log= {}", name);
        log.debug(" debug log= {}", name);
        log.info(" info log= {}", name);
        log.warn(" warn log= {}", name);
        log.error(" error log= {}", name);

        return "ok";
    }
}

 

근데 아래처럼 log.trace("trace log="+name) 도 출력이 가능함.

여기서 문제는 자바에서 ("trace log="+name) 이 부분이 실제 실행이 되버리면서 문자 더하기 연산이 발생함.

예를 들어 먼저 "trace log=Spring" 으로 연산이 되버리는데, 로그 레벨에서 trace를 안남기도록 설정한 상태라면

쓸 데 없는 의미없는 연산이 발생하는 것.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LogTestController {

    private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LogTestController.class);

    @RequestMapping("/log-test")
    public String logTest() {
        String name = "Spring";
        log.trace("trace log="+name);

        return "ok";
    }
}

 

올바른 로그 사용법

log.debug("data="+data)

 로그 출력 레벨을 info로 설정해도 해당 코드에 있는 "data="+data가 실제로 실행되어버리고, 의미없는 문자 더하기 연산이 발생.

log.debug("data={}", data);

 로그 출력 레벨을 info 로 설정하면 아무일도 발생하지 않고, 의미없는 연산이 발생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