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자(modifier)
제어자란 클래스 멤버의 선언시 사용하여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자바에서 제어자는 접근제어자와 기타 제어자로 구분할 수 있다.
기타제어자는 경우에 따라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접근제어자를 두 개 이상 같이 사용할 수는 없다.
객체 지향에서는 정보 은닉(data hiding)이란 사용자가 굳이 알 필요 없는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숨겨야 한다는 개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나 최소의 정보만드로 프로그램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private
2. public
3. default
4. protected
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여 선언된 클래스 멤버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으며, 외부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즉, 자바프로그램은 private 멤버에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해당 객체의 public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 할 수 있다.
따라서 private 멤버는 public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성하지 않고, 클래스 내부의 세부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public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여 선언된 클래스 멤버는 외부로 공개되며, 해당 객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어디에서나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자바프로그램은 public 메소드를 통해서만 해당 객체의 private 멤버에 접근 할 수 있다.
따라서 public 메소드는 private 멤버와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자바에서는 클래스 및 클래스 멤버의 접근 제어의 기본값으로 default 접근 제어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default를 위한 접근제어자는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접근 제어자가 지정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default 접근 제어를 가지게 된다.
default 접근제어를 가지는 멤버는 같은 클래스의 멤버와 같은 패키지에 속하는 멤버에서만 접근 할 수 있다.
자바 클래스는 private 멤버로 정보를 은닉하고, public 멤버로 사용자나 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
여기에 부모 클래스(parent class)와 관련된 접근 제어자가 하나 더 존재한다.
protected 멤버는 부모 클래스에 대해서는 public 멤버처럼 취급되며, 외부에서는 private 멤버처럼 취급된다.
클래스의 protected 멤버에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은
1. 이 멤버를 선언한 클래스의 멤버
2. 이 멤버를 선언한 클래스가 속한 패키지의 멤버
3. 이 멤버를 선언한 클래스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child class)의 멤버
접근 제어자의 접근 범위
public(인싸. 다좋아함)
protected(낯가리는데 자기를 좋아해주면 좋아함)
default(낯 많이가림. 자기편만 좋아함. 호불호 심함)
private(아싸)
'공부내용 정리 >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DI) (1) | 2023.10.17 |
---|---|
JDBC 프로그래밍 (0) | 2023.10.11 |
객체지향 패러다임 3 (학점계산기) (0) | 2023.09.05 |
객체지향 패러다임 2 (계산기) (0) | 2023.09.05 |
객체지향 패러다임 1 (Password Validator) (0) | 2023.09.03 |